위∙변조 사전 차단
위변조 검증 기술 = 미디어가 변조된 이후 위변조 여부를 탐지하는 방법.
미디어 위변조 사전 차단(Proactive Forgery Prevention)기술
사전 차단 원리
이미지 위변조 검증은 Active와 Passive 검증 영역으로 나뉜다.
Passive 영역에 Deepfake, Cheapfake detection이 해당된다.
그러나 위변조 생성 기술이 훨씬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때문에 완벽 탐지가 어렵다.
반면에 Active 영역은 사전차단 관점에서 100% 위변조 검증이 가능하다.
JPEG Privacy & Security
디지털 촬영 장치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가 여러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는 과정에서 이미지가 위변조되면서 사실 왜곡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JPEG 국제 표준기구 - Privacy & Security 관련 표준 제정 및 적용.
이 분야 Digital Signature에서는 이미지 부분과 메타 데이터 특정 부분에 대한 해시 값을 추출하고, 이 값을 특정 키로 서명한 값을 'JUMBF(JPEG Universal Meatadata Box Format)' 라고 하는 특정 메타데이터 영역에 포함시킨다.
*메타 데이터 - 촬영 기기, 생성/촬영/저장 시각/위치 등 JPEG 파일에 포함된 정보
모든 이미지에는 원본의 해시값이 포함돼있고, 만약 메타데이터나 이미지 수정 시 원본 해시와 다른 값이 만들어진다.
수정 전 해시 값과 수정 후 해시 값을 비교하면 해당 이미지가 수정된 사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MpF(Multi-point Focus)
팀나인 자체 구현 입체/평면 구분 기술.
1) 입체 이미지를 가로와 세로로 임의 분할한다.
2) 분할된 구역 중 특정 영역 하나에 카메라 포커스를 맞추면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의 사진 선명도가 달라지게 된다.
3) 다른 영역으로 카메라 포커스를 보내면 원근에 의해서 사진 선명도가 또 달라지게 된다.
-> 카메라 포커스에 따른 원근으로 사진 선명도가 달라진다.
ToF(Time of Flight)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의 하나.
카메라에서 방출된 신호가 측정 범위 내 피사체까지 도달한 뒤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술.
팀나인
가정 - 입체 피사체와 평면 피사체의 ToF는 다르다.
입체의 표면 굴곡에 따라 각 지점에서 되돌아오는 시간에 차이가 있고, 평면은 되돌아오는 시간에 큰 차이가 없을 것.
Artifact 탐지
모아레 현상
실물 또는 종이, 모니터 등을 촬영했을 경우 모아레 현상이 사진에 나타난다.
Artifact는 이런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하여 촬영된 사진이 실물인지, 위변조를 한 종이 또는 모니터에 출력된 피사체를 촬영한 것인지 분석하는 기술이다.
Adobe CAI(Content Authenticity Initiative)
CAI를 적용한 이미지는 촬영부터 편집, 게시 또는 소셜 미디어 공유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삼성 SDS 사내벤처 팀나인이 개발한 미디어 위변조 사전 차단 플랫폼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진을 촬영하면 바로 서버로 전송된다.
실시간 촬영한 사진은 서버 전송 > 블록체인 연계 > 저장 순서를 거치는데, 실시간 분석을 통해 위변조 되지 않은 원본임을 증명하고, 분석 결과는 PDF 리포트 파일로 조회할 수 있다.
참고한 기술 인사이트
위∙변조 사전 차단이란 무엇일까요? (samsungs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