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5

[Spring Web MVC 1] Servlet?

웹 서버에 프로그램을 붙여 동적 페이지 생성요청 메시지 파싱과 클래스 메서드 호출 중 더 쉬운 것을 골라보라면?서블릿 정의 → 요청 다룸처리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됨Servlet Container : 서블릿을 담는 일종의 바구니서블릿 요청 / 응답 객체 생성서블릿 설정 파일을 참고해 매핑할 servlet 확인/hello 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HelloServlet이라는 이름의 서블릿이 설정 파일에 존재하는 지 확인. HelloServlet은 servlet이라는 패키지 아래에 HelloServlet 클래스로 정의되어있음.없으면 생성→ init() HelloServlet servlet.HelloServlet HelloServlet /hello servlet container에 스레드를 생성하고, ..

Spring 2025.01.29

WebSocket으로 인터랙티브 웹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ai agent 통화 서비스의 백엔드 로직을 고민하던 중에 websocket에 대해 이해해보고 싶어서 스프링 공식 가이드를 공부했다. 깃허브 코드 : https://github.com/kchabin/spring-gs GitHub - kchabin/spring-gs: 스프링 공식 가이드스프링 공식 가이드. Contribute to kchabin/spring-g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WebSocket?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alive the communication takes place using the same connection channel until it is termina..

Spring 2025.01.07

SpringBatch(2) : 코드 설명 및 아키텍처 알아보기

스프링 배치 3.0 이상 버전을 이용하므로 @EnableBatchProcessing이 필요하지 않다기본 배치 어플리케이션지난번에 만든 스프링배치 프로젝트 활용lombok 설정과정Tasklet 구현체 생성@Configuration 을 통해서 생성할 Batch Bean을 스프링에 등록한다.Job, Step을 생성하고 빈에 등록실행 결과 확인Tasklet 구현체 생성Tasklet → Step 내에서 구성되고 실행되는 도메인 객체, 단일 task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import lombok.extern.slf4j.Slf4j;import org.springframework.batch.core.StepContribution;import org.springframework.batch.core.scope.cont..

Spring/Spring Batch 2024.10.30

Spring Batch (1) : 스프링 배치 빠르게 시작하기

지난번 Devocean OpenLab Kotlin SpringBoot 스터디에 이어서 이번엔 Spring Batch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엔 멘토님이신 KIDO 님의 DEVOCEAN 연재글을 보면서 직접 실습, 글 정리하고 매주 화요일마다 랜덤으로 발표한다.[SpringBatch 연재 01] SpringBatch 빠르게 시작하기 [SpringBatch 연재 01] SpringBatch 빠르게 시작하기 devocean.sk.com깃허브 : https://github.com/kchabin/spring-batch/tree/main GitHub - kchabin/spring-batch: Devocean 스프링 배치 스터디Devocean 스프링 배치 스터디. Contribute to kchabin/spr..

Spring/Spring Batch 2024.10.08

Kotlin SpringBoot로 나만의 블로그 만들기 (1)

https://kchabin.notion.site/Kotlin-Spring-blog-029501d268794d04a2aa1f046f461caa?pvs=4※ Notion에 개발 과정과 트러블슈팅 과정 등을 적어두고 티스토리로 정리해서 옮기고 있습니다.OpenLab 스터디 진행해주신 개발자분께 멘토링을 요청했고, Kotlin을 주력 언어로 해서 한번 블로그를 만들어보라고 조언해주셨다. 마침 스터디 후 Kotlin을 활용한 스프링부트 개발이 너무 재밌어서 다시 하기로 마음 먹었다. 도서의 베타테스터로 활동하면서 책의 실습을 3장까지 따라했었는데, 실습에서는 STS 환경에서 Java와 JPA를 사용해서 개발한다. 코드만 kotlin으로 바꿔서 개발하고 있다.URL Mapping@GetMapping("/")fun..

Spring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