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3

[리뷰] GPT API를 활용한 인공지능 앱 개발(2판)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올해에도 도서 리뷰를 진행하게 되었다. 도서 제목은 GPT API를 활용한 인공지능 앱 개발이다.   실제로 작년 한 해동안 졸업 프로젝트로 GPT API를 활용한 LangChain AI 챗봇 서비스를 만들었었다. 원래 AI는 너무 어렵고 괴롭고 수학 못하는 사람들은 절대 못할것같았다.  100n km 두께의 장벽이 나와 AI 둘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느꼈는데, 그걸 깨준게 바로 Chat GPT의 등장이었다. 물론 ML과 DL을 우습게 봐서는 안된다. 성능 측면에선 오히려 LLM API를 사용하는 것보다 직접 공들여 모델을 만드는 게 나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대학생의 자본과 시간과 능력으로는 그런 부분들이 굉장히 어렵게 느껴진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2.26

리스트 자르기

정수 n : 반복될 횟수slicer : 정수 3개가 담긴 리스트 -> [ a, b, c ]num_list : 슬라이싱 해야 할 정수 리스트.slicer에 담긴 정수를 차례대로 a, b, c라고 할 때, n에 따라 다음과 같이 num_list를 슬라이싱 하려고 합니다.n = 1 : num_list의 0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n = 2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n = 3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n = 4 : num_list의 a번 인덱스부터 b번 인덱스까지 c 간격으로n으로 뭘 입력받는지에 따라서 리스트 슬라이싱의 범위가 정해진다. switch-case 문을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kotlin에서는 when을 사용해서 간결하게 표현할 수 ..

코딩테스트 2025.02.11

가까운 1 찾기

원소가 0, 1뿐인 정수 배열 arr과 인덱스 값 idx가 주어졌을 때, idx보다 크면서 배열의 값이 1인 가장 작은 인덱스를 반환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야 한다. idx보다 큰 인덱스의 값이 1인 경우가 없으면 -1을 반환해야 한다. 입출력 예[0, 0, 0, 1]13[1, 0, 0, 1, 0, 0]4-1[1, 1, 1, 1, 0]33 두 번째 예시 같은 경우, idx=4가 주어지는데 그 이후 인덱스 5의 값이 0이고, 인덱스 4의 값도 0이라 -1을 반환해야 한다.세번째 예시는 인덱스 3의 값이 1이지만 그 이후 인덱스 4는 0이고 이보다 더 큰 인덱스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3을 리턴한다. 근데 문제에서는 idx보다 '크면서' 조건을 만족하는 인덱스를 리턴해야 하는데, i..

코딩테스트 2025.02.10